본문 바로가기
건강,헬스

이태원 압사사고 , CPR 환자 발생 (feat.압사사고 방지법)

by 라이꿀 2022. 10. 30.

이태원에서 압사사고가 발생했다는 뉴스속보가 나왔습니다. 할로윈을 맞아 이태원에는 인파가 많이 몰렸는데,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이 넘어지면서 몸이 깔리는 사고가 발생한 것입니다.

 

곳곳에서 구급대원들이 CPR을 시도하는 것을 볼 때, 상황이 심각하고 안타깝게도 사망자와 부상자가 많이 발생될 것을 예측됩니다. 

 

압사 상황이 발생했을 때 왜 CPR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압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압사사고의 정의 및 사례 >

압사란 압력에 의해 사망하는 것을 말합니다.

공장과 같은 곳에서는 프레스와 같은 장비를 다루다가 압사사고가 발생하고, 가정 내에서는 어린아이가 무거운 물체에 깔리거나 했을 때 부상을 입거나, 심할 경우 사망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또한, 이번 사고와 같이 인파가 몰린 공연장, 행사장에서 사람들이 넘어지면서 깔리는 상활이 발생해 부상, 사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아래 사진처럼 이슬람 성지순례에서도 압사사고가 많이 발생해 보도되는 일이 많습니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4년 경주 마우나리조트에서 발생한 건물 붕괴사고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구조물에 깔리는 압사 사고가 발생했고, 

 2005년에는 경북 콘서트 현장에서 인파에 의해 11명이 압사하고, 109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사고가 있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압사사고는 예상치못한 구조물, 물건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고 사람들이 몰린 장소에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압력을 받을시 신체가 사망에 이르는 이유 >

 

● 고중량의 물체에 깔리면서 외상으로 인해 부상 또는 사망

● 허파가 눌리면서 호흡 곤란으로 사망

● 신체 내 조직의 파손으로 생성된 독성 물질로 인해 급성 신부전 발생

 

위와 같은 이유로 큰 압력을 받을 시 신체가 견디지 못하고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압사 상황 발생 시, CPR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호흡이 끊겨 생명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인위적으로 심장에 피를 돌게 만들고, 산소를 공급해 호흡을 살리기 위해서입니다. 

 

< 압사 사고 방지법 >

압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정 내에 어린아이가 있을 경우 가구를 벽면에 고정해야 합니다.

가정 내 압사사고는 주로 가구에 의해 발생되는데 벽면에 고정되지 않은 가구를 만지다가 아이를 덮치는 경우가 꽤 많다고 합니다. 

 

사람이 많은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파가 몰린 곳에서는 나의 의지와 다르게 타인이 넘어지면서 불가피하게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불가피하게 인파가 몰린 곳에서는 팔짱을 끼고 앞으로 들어 가슴 앞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뒤에서 밀려 넘어지더라도 가슴이 압박되어 심장, 허파가 압력을 받을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인파가 많은 곳에서는 지속적인 압박에 의한 신부전 사망보다 순간적인 압력으로 가슴이 눌려 사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슴부위가 압박되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시고, 당황하지 말고 사람에 깔려있는 위치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