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경제

다이아몬드 모델의 시대적 한계

by 라이꿀 2022. 9. 5.

  삼성, 현대와 같은 대기업이 우리나라를 이끌어 가고 있다. 수출 역시 호조세로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상황이 반대이다. 여러 지표에서 볼 수 있듯이 내수 산업이 위기를 겪고 있다. 대기업들은 사상 최대 실적 발표를 하고 있지만 그 아래 기업들은 도산 직전에 처해있다. 적절한 경쟁이 있어야 함께 성장하지만 지금 과도한 이익 편중이 있기 때문이다. 다이아몬드 모델은 한국이 위기를 겪고 있는 이유를 판단하게 해 주며 치열한 세계경제 시장에서 살아남을 방도를 고민하게 해 준다. 하지만 다이아몬드 모델도 시대적 한계점이 있다. 천연자원이 많은 나라는 대부분 가난하다고 나와 있지만 현재 자원의 부국이 신흥 선진국으로 가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 상향평준화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 희토류를 적절히 이용해 경제적 이윤뿐만 아니라 외교적 협상카드로 이용하고 있다. 러시아 또한 석유와 천연가스의 막대한 매장량을 통해 자원외교를 펼치고 있다. 자원의 양이 얼마냐에 따라 세계를 움직일 힘을 얻게 된 것이다. 과거와는 달라진 판세는 다이아몬드의 한계점을 시사한다. 자원의 이용뿐만 아니라 매장량이 경제 상태를 결정한다고 수정해야 한다,
  물론 다이아몬드 모델의 유용성도 존재한다. 자원 부족 국가지만 붕괴 50년 만에 선진국으로 갈 수 있었던 동력. 다이아몬드 모델은 한국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대변해준다. 한국은 자원은 부족하지만 그것을 적절하게 이용해 극복해 냈고 IT라든지 생명과학기술 산업 클러스터를 만들어 기술발전을 이끌어냈다. 다이아몬드 모델의 구조는 이것들을 대변해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