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각종 정보118 냉장고 냄새 없애는 방법 (feat. 냉장고 냄새 원인) 냉장고를 쓰다 보면 음식냄새 또는 역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냉장고에서 냄새가 남는 원인과 함께 그 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냉장고 냄새 원인 1. 냉장고는 완벽하게 밀폐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그러므로 냉장고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환기가 되지 않기에 계속 머물러 있게 됩니다. 일례로 반찬통 뚜껑을 제대로 닫지 않은 경우 음식 냄새가 냉장고를 뒤덮게 됩니다. 2. 음식물이 또는 액체류가 흘러 냉장고 바닥면에 늘러 붙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냉장고를 청소하는 주기가 길어지면 이 냄새들이 섞여 고약한 악취로 이어집니다. 3. 냉장온도는 0~6도로 설정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냉장온도가 높게 설정되어있다면 냄새가 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냄새.. 2023. 1. 21. 호날두 알 나스르 입단, 연봉, 과거 논란 (feat. 여친 동거 가능?) 호날두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나스르FC로 이적했습니다. 알 나스르는 국내 팬들에게는 생소하지만 우리나라 선수 3명이 거쳐간 팀으로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는 상위권에 위치한 강팀입니다. 이번글에서는 호날두가 입단한 알 나스르에 대한 정보와, 선수 연봉 그리고 그외 정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알 나스르 구단 정보 알 나스르는 사우디아라비아 리그의 팀으로 오일머니를 이용해 선수를 영입하고,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도 오른적이 있는 팀입니다. 우리나라 선수 3명도 이 팀을 거쳐갔는데, 이천수(2009년), 김병석(2012년), 김진수(2020년) 선수입니다. 이천수는 그 당시 약 12억의 연봉을 받았고, 김진수 선수도 35억이 넘는 연봉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만큼 우리나라와 비교해 돈이 많고 부유한 구단이라.. 2023. 1. 10. 중국 코로나 상황, 국경 봉쇄 해제 이유 (feat. 향후 심각한 감염 전망) 중국이 코로나가 발생한 지 3년 만에 국경 봉쇄를 완전히 푼다고 합니다. 이전에는 중국에 입국한 사람의 경우 최장 3주간의 격리기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입국자들의 격리기간을 완전히 해제하고, 외국인의 자유로운 입국을 허용했습니다. 그 탓인지 홍콩인들의 중국행 예매 건수가 5일 하루에만 34만 건이 넘었다고 합니다. 중국은 코로나로 고통받고 있고, 감염자와 사망자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 경제적인 이유와 국민들의 원성 때문에 국경을 오픈하려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중국은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급증해 아파트 단지에서도 시체를 처리하는 실정이라는데, 중국의 코로나 현 상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내 코로나 신규 입원자 수 50% 증가 WHO 세계보건기구는 중국으로부터 코로나.. 2023. 1. 7. 화분 흙 벌레, 곰팡이 없애는 법 (feat. 분갈이 주의) 화분 진딧물(진드기) 정체, 원인, 해충 없애는 법 (feat.친환경 방법) 화분 진딧물(진드기) 정체, 원인, 해충 없애는 법 (feat.친환경 방법) 겨울철 날이 추워져 화분은 집 안에 두다 보면 하얀 벌레들이 잎 뒷면에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것은 바로 진딧물인데요. 진드기로 오해할 수 있으나 진딧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얀 www.likeggul.com 주변의 산이나 아파트 화단에 흙은 갖고와 집안의 화분을 분갈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때 흙 안에 벌레나 곤충 알이 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벌레가 반려식물에 퍼질 가능성이 있고, 산의 바퀴벌레가 집안에 온통 퍼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화분의 분갈이를 할 때에는 자연 그대로의 흙보다 인공 배양토를 구입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 2023. 1. 6. 2023년 새해 일출시간 (feat.일출 생중계 사이트) 2022년이 이제 하루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새해 2023년이 우리에게 다가올텐데요. 2021년, 2022년 1월 1일에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일출행사가 많이 열리지 못했습니다. 올해에는 12월 31일 제야의 종 행사가 개최되고, 1월 1일 전국 각지에서 일출행사가 진행된다고 하니 새해를 맞이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주요지역 일출시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본인 지역의 일출시간을 정확히 알수 있는 사이트와 날씨가 너무 추워 집에서 보고자 하시는 분들께도 도움이 될만한 사이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말 보신각 '제야의 종' 행사 개최 (feat. 평일 타종행사 참가방법) 연말 보신각 '제야의 종' 행사 개최 (feat. 평일 타종행사 참가방법) 2023년 1월 1일 0시에 보신각 '제야의 종' .. 2022. 12. 30. 실내 마스크 해제 발표 (feat. 관련 수혜주는?) 2022년 12월 22일 국회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의무를 해제하는 것에 대해 논의를 했습니다. 이미 카타르 월드컵에서 볼 수 있듯이 외국에서는 마스크를 쓰지 않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곳뿐만 아니라 여행을 다녀보면 실내에서도 더 이상 마스크를 쓰지 않는 외국의 현 모습을 보면서 우리나라도 해제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많았습니다. 2020년 코로나 사태가 벌어지면서 거의 2년여간 이어졌던 마스크 착용의무가 해제될 것으로 보이고, 이는 23일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번에는 마스크 해제를 했을 때, 어느 곳에서 가능한 것인지와 이때 주식 관련 수혜주, 테마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일정 기준 충족시 마스크 착용 권고 의무 해제 코로나 유행 상황,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수 추이가 일정 기준 하에 .. 2022. 12. 22. 2023년 최저시급 정보 (feat. 고용주 입장의 최저시급은?) 2023년 최저시급이 9,620원으로 결정이 됐습니다. 최저임금은 매년 8월 초에 결정이 되어왔습니다. 2023년에는 전년보다 5% 상승한 9,620원으로 23년 1월 1일 근로한 날부터 적용이 됩니다. 내년에 새롭게 적용될 최저시급을 바탕으로 월급과 고용주입장에서는 최저시급에 더해 얼마를 지출하게 될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도별 최저시급과 인상률 내년 최저시급은 올해 대비 5% 상승한 수치입니다. 코로나 사태 이후 노동자 측과 사용자 측의 접점을 찾지 못하고 권고사항에 대한 투표에 따라 9,620원으로 결정이 났습니다. 연도별 최저시급과 전년대비 인상률은 아래표와 같습니다. 연도 최저시급 전년 대비 인상률 2023 9,620 5% 2022 9,160 5.05% 2021 8,720 1.5% 2020.. 2022. 12. 19. 2026 월드컵 개최국 및 정보 (feat. 카타르월드컵 다음은?) 2022카타르 월드컵이 성황리에 종료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6강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루고, 다음 월드컵에 대한 기대를 맛보았습니다. 4년 후이긴 하지만 2026년 월드컵은 어느 국가에서 개최되고, 아직 많지는 않지만 공식적으로 발표된 정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개최국(개최 도시) 2026월드컵은 케나다, 멕시코, 미국에서 공동 개최가 됩니다. 3개국이 공동 개최하는 경우는 최초이고, 2002 한일 월드컵이후로 공동 개최는 24년만의 일입니다. 하지만 주도적으로 대회를 진행하는 곳은 미국입니다. 총 80경기 중 미국이 60경기, 멕시코 10경기, 캐나다 10경기를 치루기 때문입니다. 지난 6월에는 구체적으로 경기가 치뤄질 도시가 발표되었는데 총 16개의 도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아틀란타 보스톤 .. 2022. 12. 19. 연말 보신각 '제야의 종' 행사 개최 (feat. 평일 타종행사 참가방법) 2023년 1월 1일 0시에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행사를 개최합니다. 2020년 코로나 사태가 발생한 이후 21년까지 비대면 타종행사를 진행했고, 올해 드디어 예전처럼 사람들이 모여 타종행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오랜만에 진행되는 행사에 10만 명 이상의 군중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기에 안전과 관련한 우려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태원 할로윈 사고를 경험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때라 안전요원이 곳곳에 배치되고, 시민 안전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글에서는 보신각에 대한 정보, 연말 보신각 '제야의 종' 행사와 함께, 특히 보신각에서는 매일 정오에 일반 시민이 타종을 체험해볼 수 있는 행사도 진행하는데 이에 대한 신청방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보신각에 대한 정보 보신각은 .. 2022. 12. 1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