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에서 작곡가의 음악실을 보면 스피커가 달려있는데, 주로 '모니터 스피커'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일반인 중에서도 작곡을 하거나 음악 믹싱을 하는 사람들도 모니터 스피커를 사용하는데요.
과연 모니터 스피커와 일반스피커와 차이점이 있을까요?
모니터 스피커는 말 그대로 음향을 모니터 하기 위한 기기입니다.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음향이 정확히 표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표준 스피커를 의미하며, 가청주파수를 중심으로 왜곡 없는 평탄한 재생주파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음향이 정확하게 재생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스피커를 말한다. 사람의 가청주파수인 20Hz~20kHz 범위에서 왜곡 없이 평탄하게 재생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재생되는 음악이나 효과음들을 정확히 표현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특정 주파수 대역의 부스트나 감쇠가 없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스피커의 사운드를 표준 스피커 사운드라고 부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모니터 스피커 [moniter speak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모니터 스피커의 특징
그러므로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듣는 모니커와 달리 음악이 정직하고, 왜곡없이 들리게 됩니다. 그러므로 정확할지는 몰라도 조금은 음악이 심심하고, 루즈하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들이 많이 아는 오디오 브랜드인 보스, 뱅앤울룹슨, 바워 앤 윌킨스 등과 같은 곳들은 모니터 스피커와 거리가 있습니다.
각 회사 나름대로의 철학이 있기에 음악이 들리는 느낌이 각기 다릅니다. 소리에 맛을 더한다는 느낌인데요, 소비자는 각자의 니즈에 맞는 브랜드를 선택하고 음악을 즐기게 됩니다.
그렇기에 하이엔드 스피커는 취향을 타게 되며. 개인에 따라 선호도가 천차만별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모니터 스피커와 하이엔드 스피커 급을 모두 사용해봤는데요, 추천을 드리자면 저가용에서는 모니터 스피커가 더 좋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왜냐하면 모니터 스피커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기에 저가형 제품 중에 가성비 좋은 것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저는 10만 원 초반대의 모니터 스피커를 사용 중인데, 사실 음악 감상이나 영화감상용에서는 이만한 제품이 없는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저렴한 가격대의 모니터 스피커를 찾는 분이시라면 프리소너스의 eris e3.5 제품을 한번 청음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회사이기에 부담 없이 추천하는데, 평점이 높은 제품이라 평타 이상은 하는 듯합니다.
일반 스피커(하이엔드)
하이엔드 스피커는 그 세계에 발을 딛는 순간 돈이 왕창 깨진다는 것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앰프를 따로 산다거나 선재를 고급소재로 구매한다거나, 방음판, 서브 우퍼 등 여러 요소들이 추가됩니다.
아무리 저렴한 스피커라 해도 앰프와 선재, 스피커까지 구매하다 보면 최소 수백만 원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저는 잠깐 발을 딛었다가, 이제는 저렴한 모니터스피커만 사용 중인데요, 후에 하이엔드스피커를 다시 들일 계획이 있는데 그때는 액티브 스피커를 구매할 예정입니다.
액티브 스피커는 앰프가 들어있기에 추가로 돈을 들일 필요가 없고, 작동이 간편하기에 어느 정도 타협이 된 음악감상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니터 스피커와 일반 스피커의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일반인의 귀에서는 사실 큰 차이점을 느끼지 못합니다.
가성비 좋은 스피커를 추천받으셔서 일단 한번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각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링, 애플링 출시 예정? (feat. 스마트링 기능) (0) | 2023.07.04 |
---|---|
야구, 골프 입스란? (feat. 입스 극복 방법) (0) | 2023.06.29 |
러브버그 정체, 부작용, 퇴치, 예방법 (feat. 실제 효과 있음) (0) | 2023.06.25 |
화를 참는 방법 (feat. 욱하는 성격 고치는 법) (0) | 2023.06.21 |
야광 팔찌 원리 (feat. 형광 팔찌 부작용?) (0) | 2023.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