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나 TV에서 최근 장단기 채권 금리차가 역전되어 경제위기가 근접했다는 소식을 자주 보곤합니다. 과연 채권이 무엇이고, 장단기 채권의 기준, 장단기 채권 금리차가 역전되었다는 것은 어떤 상황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10년물-3개월물 채권 금리차가 역전되는 상황이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22년 10월 말 발생한 일인데 이 것이 어떤 의미일까요?
< '채권' 가격의 의미 >
채권의 가격은 수요과 공급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표면 이자율을 채권 발행 당시 정해져 있지만, 채권을 거래하면서 거래 가격에 따라 채권금리(수익률)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200원짜리 채권(1년 만기, 표면 금리 10프로)짜리를 샀다고 가정해 봅시다.
표면 금리 1프로는 만기 때까지 변동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200원 채권의 만기시 20원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다만 예금 금리가 높아졌다거나, 경제상황이 곧 안좋아질거라 가정해서 채권의 인기가 시들어져 200원짜리 채권이 100원에 팔린다고 하면,
만기시 이자는 20원 그대로이기에 그 때 수익률은 20프로로 올라갑니다.
즉 채권의 가격과, 수익률(금리)는 역의 관계에 있으며 아래와 같은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채권의 가격이 떨어졌다 -> 채권금리가 올랐다 채권의 가격이 올랐다 -> 채권금리가 떨어졌다. |
또한, 최근 단기 채권의 금리가 올라간 상황은 아래처럼 간단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경제상황이 좋지 않다 2. 단기 채권의 인기가 시들어져, 수요가 적다 3. 단기 채권 가격이 떨어졌다 |
< '장단기 채권'의 의미 >
'국채'란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경제위기를 논할 때 지표로 사용하는 것이 바로 이 '국채의 기간별 금리 차이'입니다. 전통적으로 금융시장에서는 10년물과 2년물의 금리 차이를 지표로 많이 활용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10년물과 3개월물을 기준으로 보는 추세입니다. 미국의 연준도 그렇거니와 세계적인 투자가(ex>켄 피셔)들도 장단기 금리차를 볼때 10년물-3개월물을 본다고 합니다.
시대의 변화도 그렇거니와 10년물-3개월물의 지표로 보았을 때, 실제로 경제 위기와 연관이 있던 경우가 더 많았다고 합니다.
< '장단기 채권 금리 역전'의 의미 >
채권의 금리는10년 후의 일은 어떠할 지 모르니 리스크가 있기에 장기 채권의 금리가 더 높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단기 채권의 금리가 높아졌다는 것은 무슨 일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개월 단기 채권의 금리가 높다는 것은 10년 후의 경제 상황보다 3개월 후의 상황을 더욱 부정적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에서는 1962년 이후 총 7차례의 장단기 금리차(10년물-3개월물) 역전현상이 있었는데, 그 때마다 경기 침체가 있었다고 합니다. 짧으면 6개월에서 길면 2년 안에 경기 침체가 왔다고 하니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을 가볍게 볼 수는 없습니다.
아래를 보시면 장단기 금리차와 NBER(전미경제연구소)가 공식적으로 선언했던 경기침체 기간이 표시 되어있습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62년 이후로 장단기 금리차가 발생했던 연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2000년 닷컴버블, 2008 세계금융위기 때를 보면 장단기 금리차의 역전현상이 있었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20년 전에도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있었는데, 이 당시 코로나가 발생한 우연일지 몰라도 2020년 초에 전세계적으로 경제 불황이 드리운 적이 있습니다. 다행이 돈을 인위적으로 푸는 정책으로 경제위기를 탈피한 적이 있습니다.
2022년에는 전세계가 긴축정책으로 우회했고, 금리가 치솟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러 모로 경제지표가 경제위기를 가리키고 있는 가운데, 장단기 채권 금리 역전 현상은 앞으로 우리가 쉽지 않은 경제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더욱이 코로나 사태 당시, 전세계적으로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려 있는 상태였고, 금리를 올려 회수하고 있는 과정에 있습니다. 위기를 탈피하는 가장 확실한 수단인 통화 완화 정책을 펼칠 수 없는 현실입니다.
국내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시시각각 변하는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여 다가오는 미래에 대해 준비를 해야 하는 순간입니다.
'경영,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분기 아마존 실적발표 후 주가 급락(feat. 급락 이유) (0) | 2022.10.28 |
---|---|
건설사 부도 위기 이유(feat. 레고랜드, 롯데건설) (0) | 2022.10.27 |
정부 50조원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 설명(feat. 레고랜드, 둔촌동 PF사태) (0) | 2022.10.23 |
저축은행 예금자보호 활용법 (feat.은행 파산시 청구방법) (0) | 2022.10.22 |
롯데건설 부도 위기설? (feat. 레고랜드 사태) (0) | 2022.10.22 |
댓글